친환경 경영
광주신세계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환경 분야로 확대하고, 더 나은 미래를 만들기 위해 친환경 경영을 지속적으로 실천하고 있습니다.
친환경 경영 추진방향 및 전략
2030 추진 목표 이행방안
친환경 상품 (관련법령:녹색제품구매법) |
· 녹색 구매 방침 실현 · 친환경 포장재 사용 및 개발을 통해 폐기물 최소화 · 제품 제조 및 운송 과정에서의 환경 영향 모니터링 및 절감 노력 |
친환경 캠페인 (관련법령:자원재활용법,녹색제품구매법) |
· 에코백, 친환경 쇼핑백 등 친환경 쇼핑 문화 정착 및 확대 노력 · PAPERLESS 캠페인을 통해 생활 폐기물 최소화 · 친환경 소비 인식 확대 및 환경 보호 활동 장려 캠페인 추진 |
친환경 사업장 (관련법령:탄소중립기본법,폐기물관리법,에너지이용합리화법) |
·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 및 자원 절감 노력, 폐기물 절감 설비 강화 · 오염 물질 배출 모니터링 및 절감 노력 |
친환경 공급망 (관련법령:환경기술산업법,자원재활용법) |
광주신세계 자체 Sustainable Standards 수립 2030년까지 기준 부합 브랜드 15% 달성
|
기후변화 및 탄소중립 대응 활동
4000
3200
2400
1600
800
0
7500
6000
4500
3000
1500
0
기후변화 및 탄소중립과 연계된 기회요인의 잠재적 재무 영향 및 대응 전략
구분 | 잠재적 재무 영향 | 대응전략 | |||
---|---|---|---|---|---|
기회 요인 |
에너지 자원 |
・ 에너지 친환경(저탄소 및 신재생) 에너지원 사용 확대 ・ 에너지 친환경 및 저탄소 기술 확대 |
중기 | ・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에 따른 탄소세 관련 재무 리스크 감소 ・ 기업 이미지 제고에 따른 수요 창출 |
・ 자체 태양광발전설비 구축 또는 신재생에너지 구매 계약 체결 |
상품 및 서비스 |
・ 에너지 친환경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고객 선호도 증가 ・ 에너지 친환경 상품 및 솔루션 사업 확대 |
단기 | ・ 친환경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수요 증가 ・ 친환경 사업 확대에 따른 지속가능성장 기반 확보 |
・ 에너지 친환경 상품 및 서비스 개발 | |
시장 | ・ 에너지기후변화 대응 관련 신규 시장 진출 ・ 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 |
단기 | ・ 신규 비즈니스 기회 창출 ・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모델 확보 |
・ 물류 및 유통과 연계된 신사업 기회 탐색 | |
리스크 요인 |
정책 및 법률 리스크 |
・ 환경 공시 기준 신설 및 공시 의무 강화 ・ 환경 관련 소송 증가 |
단기 | ・ 공시 기준 다변화에 따른 업무 혼동 ・ 환경 관련 소송 비용 증가 |
・ 공시 대응 및 환경 규제 관련 컴플라이언스 강화 |
기술 리스크 |
・ 친환경 및 저탄소 기술 도입 ・ 신사업 진출 실패 가능성 |
단기 | ・ 신규 비즈니스 도입 시 환경영향평가, 친환경 기술 구축에 따른 비용증가 | ・ 탄소 상쇄 사업을 통한 기술 구축 예산 확보 | |
시장 리스크 |
・ 소비자 행동 변화 ・ 원자재,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수요·공급 변화 | 단기 | ・ 고탄소 제품에 대한 수요 감소 ・ 원자재, 상품 및 서비스 구입 비용증가 |
・ 소비자 수요 트렌드 조사 및 지속가능한 공급망 구축 | |
평판 리스크 |
・ 소비자 및 투자자의 선호도 변화 ・ 이해관계자의 부정적 피드백 증가 |
단기 | ・ 친환경 전환을 위한 전략 이행 및 관련 비용 증가 ・ 친환경 투자 집행에 따른 단기 비용 증가에 대한 투자자의 부정적 의견 ・ 친환경 경영 활동 불이행에 따른 기업 평판 하락 |
・ 친환경 마케팅을 통한 기업 이미지 제고 |
친환경 경영 실무 추진 조직
친환경 경영 조직 체계
총무파트 | 기획파트 | 영업팀 |
---|---|---|
친환경 건물 및 정부정책 관련 | 친환경 경영 전담 업무 총괄 | 친환경 브랜드 및 상품 관련 |
· 정부 행사/정책/제도 관련 대외업무 · ESCO 사업(고효율 설비교체) |
· 친환경 상품/제도/캠페인 성과 관리 | · 친환경 상품 판매 및 판로확대 |
폐기물 배출량 및 목표
연도 | 2019 | 2020 | 2021 | 2022 | 2023(목표) |
---|---|---|---|---|---|
총배출량 | 507,460 | 499,910 | 382,560 | 551,870 | 496,683 (10%절감) |
*목표치 : 497,311 | *목표치 : 489,912 | *목표치 : 374,909 |
*사업장 범위 : 광주신세계 백화점 본관, 신관
온실가스 배출량 및 목표
연도 | 2019 | 2020 | 2021 | 2022 | 2023(목표) |
---|---|---|---|---|---|
SCOPE 1 | 1,257 | 1,169 | 1,189 | 1,280 | 1,242 |
SCOPE 2 | 6,647 | 6,329 | 6,207 | 6,573 | 6,376 |
총배출량 | 7,904 | 7,498 | 7,396 | 7,823 | 7,588 (3%절감) |
*목표치 : 7,746 | *목표치 : 7,348 | *목표치 : 7,248 |
*사업장 범위 : 광주신세계 백화점 본관
용수 사용량 및 목표
연도 | 2019 | 2020 | 2021 | 2022 | 2023(목표) |
---|---|---|---|---|---|
사용량 | 113,856 | 109,018 | 99,121 | 117,271 | 110,235 (6%절감) |
*목표치 : 111,579 | *목표치 : 106,838 | *목표치 : 97,139 |
*사업장 범위 : 광주신세계 백화점 본관
용수 재이용량 및 목표
연도 | 2019 | 2020 | 2021 | 2022 | 2023(목표) |
---|---|---|---|---|---|
재이용량 | 9,392 | 7,004 | 7,352 | 9,615 | 4,808 |
재이용 실적(%) | 8.2% | 6.4% | 7.4% | 8.2% | 4% |
*사업장 범위 : 광주신세계 백화점 신관
*2023년 목표는 백화점 신축·이전 공사로 신관 중수로시설 철수 예정 반영
에너지 사용량 및 목표
연도 | 2019 | 2020 | 2021 | 2022 | 2023(목표) |
---|---|---|---|---|---|
사용량 | 3,833 | 3,773 | 3,594 | 3,870 | 3,793 |
*목표치 : 3,756 | *목표치 : 3,698 | *목표치 : 3,522 |
*사업장 범위 : 광주신세계 백화점 본관
에너지 사용량 절감 계획
연도 | 2021 | 2022 | 2023(목표) |
---|---|---|---|
계획 | 에너지 사용 2% 절감 | 에너지 사용 2% 절감 | 에너지 사용 2% 절감 |
실천방법 | · 영업시간 외 시설운영 효율 최적화 · 개별 냉난방기 설정온도 조정 · 매장/주차장 내 고효율 LED 도입 |
· 매장 온도 및 온수 온도 조절 · 대용량펌프 정격 용량 조절 · 페이퍼리스(paperless)업무 캠페인 시행 |
· 매장 온도 및 온수 온도 조절 · 매장 오픈/폐점 전, 후 조명, 공조 On/Off 시간 조절 · 고효율 냉방장비, LED등 추가 설치 및 교체 |
실적 | 전년 대비 4% 절감 | 실천 계획 이행 완료 |
재생에너지 사용량 및 목표
연도 | 2019 | 2020 | 2021 | 2022 | 2023(목표) |
---|---|---|---|---|---|
사용량 | 0 | 0 | 0 | 0 | 143 |
재생에너지 이용실적(%) |
0% | 0% | 0% | 0% | 22년 전기사용량의 1% |
*사업장 범위 : 광주신세계 백화점 본관,신관
온실가스 집약도
연도 | 2019 | 2020 | 2021 | 2022 | 2023(목표) |
---|---|---|---|---|---|
이용량 | 7,904 | 7,498 | 7,396 | 7,802 | 7,588 |
매출 | 4,116 | 3,993 | 4,646 | 5,266 | 5,477 |
집약도 | 1.88 | 1.91 | 1.57 | 1.48 | 1.39 |
에너지 집약도
연도 | 2019 | 2020 | 2021 | 2022 | 2023(목표) |
---|---|---|---|---|---|
이용량 | 3,833 | 3,773 | 3,594 | 3,870 | 3,793 |
매출 | 4,116 | 3,993 | 4,646 | 5,266 | 5,477 |
집약도 | 0.93 | 0.94 | 0.77 | 0.73 | 0.69 |
환경 투자 금액
연도 | 2019 | 2020 | 2021 | 2022 | 2023(목표) |
---|---|---|---|---|---|
환경투자금액 (에너지절감투자) |
0 | 83 | 313 | 9 | 630 |
*사업장 범위 : 광주신세계 백화점 본관,신관
친환경 제품 구매 금액
연도 | 2020 | 2021 | 2022 | 2023(목표) |
---|---|---|---|---|
친환경 구매 금액 | 182,350,950 | 229,011,770 | 268,520,738 | 친환경 구매비중 23% 달성 |
총 구매금액 | 779,845,169 | 988,003,349 | 1,171,942,317 | |
친환경 구매 비중(%) | 23.4% | 23.2% | 22.9% |
*사업장 범위 : 광주신세계 백화점 본관,신관
친환경 포장재 사용 실적
연도 | 2019 | 2020 | 2021 | 2022 | 2023(목표) |
---|---|---|---|---|---|
사용량 | 0 | 545,200 | 800,600 | 1,017,000 | 1,032,255 (1.5% 증가) |
*사업장 범위 : 광주신세계 백화점 본관,신관
녹색문화
생물다양성 및 서식지, 환경 보호 활동
자원순환 활동
친환경점포